목록github (6)
과거의나야도와줘

본 포스팅은 [팀 개발을 위한 Git, GitHub 시작하기]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CH2. 혼자서 Git으로 버전 관리하기 CH2 목차 1. 로컬저장소를 소스트리에 불러오기 2. 소스트리로 커밋 만들고 푸시하기 3. 그림으로 Git 뜯어보기 1. 로컬저장소를 소스트리에 불러오기 소스트리에서 add를 눌러 만들어 놓은 로컬저장소를 불러옵니다. .git 폴더(숨김 폴더)에 원격저장소 주소와 어디까지 작업했는지 등을 담아 놓는 거였네요 2. 소스트리로 커밋 만들고 푸시하기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에서 md 파일을 두 개 만들고 소스트리에서 이를 commit하고 원격저장소로 push까지 합니다 3. 그림으로 Git 뜯어보기 책에서는 그림으로 여태까지 진행 된 과정을 보여주는데요 확실히 이해가 잘 되네..

본 포스팅은 [팀 개발을 위한 Git, GitHub 시작하기]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CH1. GUI를 위한 버전 관리 환경 구축하기 CH1 목차 1. 소스트리 설치하기 2.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설치하기 3. GitHub 둘러보기 1~5장에서 GUI환경으로 소스트리를 사용하고 코드 에디터로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를 사용합니다. CH1에서는 소스트리,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를 설치하고 GitHub의 메인과 원격저장소 생성 화면을 둘러봅니다. 저는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는 이미 설치되어 있어서 소스트리만 설치하였고 이번 챕터도 크게 정리할 것은 없어보입니다.

본 포스팅은 [팀 개발을 위한 Git, GitHub 시작하기]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CH0. 빠른 실습으로 Git, GitHub 감 익히기 말 그대로 실습 하는 챕터로 로컬 저장소를 만들고 커밋, 체크아웃을 해본 뒤 원격 저장소(깃허브)에 푸시하고 풀까지 진행하는 챕터입니다. 깃 한번 건드려본 사람들은 대부분 아는 부분이라 빠르게 실습 한 번 하고 넘어갔습니다. 용어 정리 되어 있는 것만 적어보면서 복습하고 다음 챕터로 넘어가겠습니다. Git : 깃, 버전 관리 시스템 GitHub : 깃허브, Git으로 관리하는 프로젝트를 올려 둘 수 있는 사이트 GUI :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마우스로 클릭해서 사용하는 방싟 CLI :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하나씩 입력하는 방식 Git Ba..